본문 바로가기
신학(Theology)

신전통주의

by Chungbin 2022. 12. 6.
반응형

  슐라이어마허와 그의 계승자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자유주의 신학은 제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완전한 배척까지는 아니더라도 점차 커다란 환멸감을 낳게 되었다. 사실 슐라이어마허는 기독교를 종교 경험의 수준으로 끌어내렸으며, 그 결과 기독교를 하나님 중심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 중심적인 일로 변질시켜 버렸다고 학자들은 주장하였다. 전쟁의 트라우마와 공포가 인간의 문화적 규범에 호소했던 신학 방법의 신뢰성을 파괴했다는 것이다. 자유주의 신학은 인간적 가치들을 중요하게 여겼는데, 그러한 가치들이 이토록 엄청난 규모의 세계 전쟁을 낳았다면, 어떻게 그것을 참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칼 바르트와 같은 학자들은 하나님의 '타자성'(otherness)을 강조하면서, 오염된 인간 중심적 자유주의 신학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생각은 20세기의 가장 탁월한 신학 업적 가운데 하나인 칼 바르트의 교회 교의학에서 체계적으로 다루어졌다. 칼 바르트는 생전에 이 작품을 마무리하지 못했지만, 그 가운데 구속론은 완전하지 못하다. 교회 교의학 전체를 꿰뚫고 흐르는 기본 주제는 성서가 증언하는,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자기계시를 진지하게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칼빈이나 루터가 이미 강조했던 주제를 반복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칼 바르트는 상당한 창의성과 엄격함으로 자기 고유의 이론을 만들어 냈으며, 이로 인해 독창적이고 주요한 사상가로 확고히 인정받게 되었다. 

  교회 교의학은 다섯 권으로 되어 있으며, 각 책은 다시 세부적인 부분으로 구성된다. 1권은 하나님의 말씀을 다루는데, 바르트에게 하나님의 말씀은 기독교 신앙과 신학의 출발점이자 원천이 된다. 2권에서는 신론을 다루며, 3권에서는 창조론을 다룬다. 4권은 화해론을 다루고 마지막 5권은 구속론에 대해 이야기한다. 

  '바르트주의'라는 평범한 말 외에 두 개의 용어가 바르트의 이론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어 왔다. 첫째는 '변증법적 신학'이라는 말로, 이것은 1919년 바르트가 로마서에서 사용한 시간과 영원의 변증법이나 하나님과 인간의 변증법이라는 표현에서 온 말이다. 이 용어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는 연속성이 없으며 모순이나 변증법적 관계가 있다고 본 바르트 특유의 주장에 주목한 것이다. 두 번째는 '신전통주의'로, 이 용어는 17세기 개혁적 정통주의 시대의 사상과 바르트 사이의 연속성에 착안한 것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바르트는 17세기의 주요한 개혁주의 사상가들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바르트의 이론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면 하나님의 말씀의 관한 신학을 들 수 있다. 바르트의 논의를 따르면, 신학이란 성경을 통해 우리에게 계시된 예수 그리스도를 터전으로 삼고, 그 위에 기독교 교회의 선포를 견고히 다지는 학문이다. 신학은 인간의 상황이나 인간의 문제에 대한 응답이 아니다. 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응답이며, 하나님의 말씀은 본성상 응답을 요구한다. 

  1930년대에 신전통주의는 라인홀드 니버를 비롯한 여러 신학자들의 저술을 통해 북미 신학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자유주의 개신교가 그 당시에 펼치던 사회사상의 낙관적 가정들을 비판하였다. 신전통주의는 여러 가지 점에서 비판을 받았다. 그러한 비판 가운데 중요한 것들은 아래와 같다. 

  1) 하나님의 초월성과 타자성을 강조함으로써 하나님이 멀리 계신 존재요, 심지어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존재로까지 여겨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고가 극단적인 회의주의를 낳는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2) 하나님의 계시만을 근거로 삼는다는 신전통주의의 주장은 순환 논증에 해당한다. 그러한 주장은 바로 그 계시 외에는 어떤 것으로도 검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 신전통주의의 진리 주장을 외부에서 입증해 줄 수 있는 확고한 판단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이 사실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신전통주의가 일종의 신앙주의라고, 곧 자신의 테두리 밖에서 오는 비판에는 철저히 귀를 닫은 믿음 체계라고 주장해 왔다. 

  3) 신전통주의는 다른 종교에 끌리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으며, 다른 종교들은 타락하고 왜곡된 것이라고 폄하하는 것 외에는 다른 길을 알지 못한다. 이에 반해 다른 신학 이론들은 타 종교의 존재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고, 그것을 기독교 신앙과 연관 지어 다룰 수가 있다. 

반응형

'신학(The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rry Christmas  (0) 2022.12.11
교리로서의 계시  (0) 2022.12.07
스위스의 종교개혁  (0) 2022.12.04
간음한 여인 - 요한복음 8장  (0) 2022.10.31
계시의 개념  (0) 2022.10.17

댓글